알뜰교통카드 종종 주변에서 쓴다는 이야기 들어보셨을 텐데요, 알뜰살뜰하게 대중교통비를 아끼기 위해 한번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이번에 알뜰교통카드 혜택도 확대된다는 뉴스도 나왔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혜택 확대
① 사용 카드 확대
기존 신한·우리·하나·캐시비·티머니·DGB 카드에서(티머니는 발급 중단) 국민·농협·BC·삼성·현대가 추가돼 총 11개사로 확대됩니다.
② 마일리지 적립 횟수 상향(23년 7월부터 변경)
마일리지 적립 횟수가 월 44회에서 60회로 늘어날 예정입니다.
이렇게 되면 교통비 절감 효과는 기존 최대 월 4만 원에서 최대 6만 6천 원으로 늘어납니다.
③ 알뜰교통카드 사용 방법 개선 (23년 4월 예정)
▶ 모바일 페이에 등록해서 핸드폰으로 결제가 가능해질 예정입니다.
스마트폰에 알뜰교통카드 앱을 다운받아 제휴카드를 등록하면 됩니다.
▶ 출발·도착 버튼을 매번 누르지 않아도 마일리지가 적립될 수 있도록 즐겨찾기 구간 설정 기능도 추가됩니다.
④ 알뜰교통카드 가입 방법 간소화
최초 가입 시 주소지 검증 절차를 자동화하여 주민등록등본 등 서류를 직접 제출해야 하는 절차가 간소화됩니다.
알뜰교통카드란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자가 정류장까지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하면, 그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 공공 교통카드입니다.
마일리지는 한번 이용할 때 최대 450원, 청년층은 650원까지 쌓입니다.
알뜰교통카드 앱 사용 안내
해당 순서에 맞춰 진행하면 알뜰교통카드 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현재 티머니페이는 발급 중단한 상태입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앱 사용방법
① 회원가입 및 로그인
② 마일리지 적립하기
공공요금이 인상되는 와중에 알뜰교통카드 혜택이 확대된다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시행하기 전 시간이 아직 있지만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이번 기회에 이용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2023년 달라지는 알뜰교통카드 신청방법은?
대중교통 요금이 올라갈 예정이라는 뉴스가 심심찮게 나오고 있는 요즘, 알뜰교통카드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알뜰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
dalfactory.kr
공공분양 사전청약 신청방법, 자격조건 (+ 뉴홈)
작년 국토부는 무주택 청년과 서민의 주거불안 해소를 위해 공공주택 50만 호 공급계획을 발표했었습니다. 2027년까지 공공분양 주택 50만호 중 34만 호를 청년층, 나머지 16만 호를 4050 중장년층에
dalfactory.kr
2023년 최저임금 월급 실수령액, 한번에 살펴보기
2023년 올해부터 적용되는 최저임금은 9,620원입니다. 그렇다면 실제 최저임금이 반영된 월급은 어느 정도 일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최저임금은? 2023년 최저시급은 9,620원입니다. 2022년
dalfactor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