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은 특별한 날, 행사가 많은 달입니다.
이런 5월의 문을 여는 첫날이 바로 근로자의 날인데요, 2023년 올해 근로자의 날은 월요일입니다.
근로자의 날에 대해 알아보면서 휴일근로수당에 대한 규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근로자의 날이란
근로자의 날은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법으로 제정한 날입니다.
그렇지만 막상 달력을 보면 빨간날은 아니기 때문에 왜 휴일인지, 그리고 이 날에 근로를 하게 된다면 근로수당은 어떻게 되는 것인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자의 날은 근로기준법상 '법정휴일’에 속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어린이날이나 석가탄신일등의 달력의 빨간날은 '법정공휴일'입니다.
법정휴일과 법정공휴일의 차이를 알아볼까요.
법정휴일과 법정공휴일의 차이
▷ 법정휴일은 근로기준법으로 보장하는 휴일입니다.
주휴일과 근로자의날이 있습니다.
▷ 법정공휴일은 관공서의 공휴일 규정으로 보장하는 휴일입니다.
달력의 빨간날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법정휴일과 법정공휴일은 근로기준법과 관공서의 공휴일 규정에 따라 보장 기준이 달라집니다.
근로자의 날은 법정휴일이기 때문에 달력의 빨간 날이 아니고 이에 근로자의 날에 출근하면 법을 어기는 것은 아닙니다.
대신 근로자의 날에 일한다면 기존 임금 외에 휴일 근로수당을 추가로 지급받아야 합니다.
휴일 근로수당 알아보기
근로자의 날에 근무를 한다면 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데, 급여 지급 형태(월급제, 시급제) 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① 월급제
근로자의 날에 쉬는 경우 별도 수당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근무하는 경우라면, 휴일근로에 대한 수당(100%) 에 휴일근로 가산수당 (50%)를 더해 150%의 수당으로 지
급 받습니다.
② 시급제
근로자의 날은 유급휴일이므로 쉬는 경우 하루분의 통상일급을 지급받습니다.
근무하는 경우라면, 기존 근무수당(100%), 휴일근로에 대한 수당(100%)와 휴일근로 가산수당 (50%)를 더해 250%의 수당으로 지급받습니다.
근로자의 날은 유급휴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정확하게는 이 날 근로를 하고 다른 날을 휴일로 대체할 수는 없지만 보상휴가제도로 실시할 수는 있습니다.
평균 근로시간의 1.5배에 해당하는 보상휴가를 부여하는 데 예를 들어, 1일 8시간 근로자에게는 12시간의 휴식 시간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참고) 통상임금이란 근로자에게 정기적·일률적으로 소정근로 또는 총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해진 시간급금액·일급금액·주급금액·월급금액 또는 도급금액을 말함(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근로자의 날 근무하는 곳들은
근로자의 날에 공무원은 근무합니다.
공무원은 근로기준법이 아닌 관공서의 공휴일 규정과 공무원공무규정에 따르기 때문입니다.
동주민센터, 구청, 법원, 보건소, 학교는 정상근무입니다.
우체국은 우체국 우편 및 금융창구는 정상근무이지만, 일반우편물 배달업무는 하지 않습니다.
은행, 증권사, 보험사는 법정휴일에 따라 휴일입니다.따라서 주식 시장도 열리지 않습니다.
실업급여 신청기간은 언제까지? (2023년 실업급여 개정안)
실업급여 신청기간은 언제까지? (2023년 실업급여 개정안)
비자발적 사유로 실직한 근로자의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생활에 안정을 주어, 재취업 활동을 지원해주는 제도에 대애 알고 계시나요? 바로 실업급여 제도입니다. 실업급여 신청조건 , 급여액 등
dalfactory.kr
차상위계층 확인서 발급 방법 2가지는?
우리나라 복지에는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제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차상위계층 조건에 대해 알아보고 확인서 발급은 어떻게 받는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차상위계층 조건 차상위계
dalfactory.kr
임금체불 소액체당금 신청방법
근로자를 보호해 주는 여러 제도가 있지만 오늘은 그중에 임금체불에 관한 소액체당금 지원제도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소액체당금이란 퇴직자가 회사로부터 임금과 퇴직금을 받지 못할 때, 국
dalfactory.kr